늑막에 물이 차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4 조회 수

폐렴이나 결핵과 같은 감염, 또는 다른 질병으로 인해 늑막에 염증이 생기면, 염증 반응으로 늑막에서 분비물이 과도하게 생성됩니다. 이 분비물이 늑막강에 고이면서 흉수, 즉 가슴에 물이 차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흉수는 폐를 압박하여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 진단은 의료 전문가의 진찰이 필요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늑막에 물이 차는 이유: 흉수의 다양한 원인과 숨겨진 이야기

늑막은 폐를 감싸고 있는 두 겹의 얇은 막으로, 폐가 흉곽 안에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윤활유 역할을 하는 액체를 소량 분비합니다. 건강한 상태에서는 이 액체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늑막에 염증이 생기거나 액체 생성과 흡수 사이의 균형이 깨지면 늑막강에 액체가 과도하게 축적되는 현상, 즉 흉수가 발생합니다. 흔히 “가슴에 물이 찼다”라고 표현하는 이 흉수는 다양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며,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흉수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 감염: 폐렴, 결핵, 곰팡이 감염 등은 늑막에 염증을 일으켜 흉수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특히 결핵성 흉수는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게 나타나다가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늑막염 자체가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악성 종양: 폐암, 유방암, 림프종 등이 늑막으로 전이되어 흉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암세포가 직접적으로 늑막을 침범하거나, 종양으로 인해 림프관이 막혀 액체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흉수가 발생합니다. 암 관련 흉수는 다른 원인에 비해 치료가 어렵고 재발률이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 심부전: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면, 혈액 내 수분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 늑막강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특히 울혈성 심부전 환자에서 흉수가 흔하게 나타납니다.

  • 신부전: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체내 수분과 전해질 균형이 깨지면 흉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장 질환으로 인해 단백질이 소변으로 과도하게 배출되는 경우에도 흉수가 생길 위험이 높아집니다.

  • 간경변: 간경변으로 인해 복수가 차는 경우, 복수가 횡격막을 통해 늑막강으로 이동하여 흉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간경변 환자에서 발생하는 흉수는 종종 난치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 폐색전증: 폐동맥이 혈전으로 막히는 폐색전증은 폐 조직에 손상을 입히고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흉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등의 자가면역질환은 늑막에 염증을 일으켜 흉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 관련 흉수는 다른 장기의 침범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약물: 일부 약물은 늑막염을 유발하여 흉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약물 유발성 흉수는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기타: 췌장염, 유미흉, 석면 노출 등도 흉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흉수의 증상과 진단:

흉수의 양이 적을 때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흉수가 증가하면 호흡 곤란, 가슴 통증,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흉수의 진단을 위해서는 흉부 X선 촬영, CT 촬영 등의 영상 검사와 함께 흉수 천자 검사를 시행하여 흉수의 성분을 분석하고 원인을 감별합니다. 흉수 천자 검사는 흉강 내 액체를 직접 채취하여 세포 검사, 세균 검사, 단백질 및 당 수치 측정 등을 통해 흉수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흉수의 치료:

흉수의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집니다. 감염으로 인한 흉수의 경우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고, 악성 종양으로 인한 흉수의 경우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심부전, 신부전, 간경변 등과 관련된 흉수는 이뇨제를 사용하여 체내 수분량을 줄이고,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흉수의 양이 많아 호흡 곤란이 심한 경우에는 흉강 천자를 통해 흉수를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흉막 유착술을 통해 늑막강을 폐쇄하여 흉수의 재발을 막을 수도 있습니다.

결론:

흉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각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흉수가 발생하면 정확한 진단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흉수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호흡 곤란,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