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염은 어떻게 분류되나요?

0 조회 수

위염은 내시경적 소견에 따라 발적성 위염, 미란성 위염, 출혈성 위염, 담즙 역류성 위염, 만성 표재성 위염, 위축성 위염, 화생성 위염, 비후성 위염으로 분류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위염은 위 점막의 염증으로, 원인과 병변의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발적성 위염 (Erythematous Gastritis)

위 점막의 발적, 부종, 혈관 확장이 특징이며, 가장 흔한 위염 유형입니다. 주로 알코올, 약물, 급성 스트레스, 감염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2. 미란성 위염 (Erosive Gastritis)

발적성 위염이 진행되어 위 점막에 미란(궤양)이 생기는 상태입니다. 아스피린, 이부프로펜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알코올, 흡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출혈성 위염 (Hemorrhagic Gastritis)

미란성 위염이 심화되어 위 점막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심각한 경우 혈구 감소증과 쇼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원인은 알코올, NSAID, 스트레스 궤양과 같습니다.

4. 담즙 역류성 위염 (Bile Reflux Gastritis)

담즙이 위로 역류하여 위 점막을 자극하여 발생합니다. 십이지장 수술 후, 담낭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5. 만성 표재성 위염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위 점막의 표면 층에만 염증이 국한되어 있는 만성 위염입니다. 증상이 거의 없거나 가벼운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위축성 위염 (Atrophic Gastritis)

위 점막의 위샘이 점차 소멸되어 위 점막이 위축되는 만성 위염입니다. 위암과 관련이 있으며, 자가면역 질환, 헤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7. 화생성 위염 (Metaplastic Gastritis)

위 점막의 세포가 정상 세포와 다른 세포로 변화하는 이상성 위염입니다. 위 점막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손상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8. 비후성 위염 (Hypertrophic Gastritis)

위 점막이 두꺼워지고 접힘이 증가하는 만성 위염입니다.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헤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