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혈성 질환이란 무엇인가요?

0 조회 수

용혈성 질환은 엄마의 혈액형 항체가 태아의 적혈구와 반응하여 태아의 적혈구를 파괴하는 질환입니다. 특히 O형 엄마와 A형 또는 B형 아기 사이에서 발생하며, 엄마의 IgG 항체가 태반을 통과하여 아기의 적혈구를 공격, 비장의 대식세포에 의해 파괴됩니다. 이로 인해 아기에게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용혈성 질환은 어머니와 태아의 혈액형이 맞지 않을 때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태아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빈혈, 황달, 장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용혈성 질환의 원인

용혈성 질환은 주로 어머니가 Rh-음성이고 태아가 Rh-양성일 때 발생합니다. Rh 인자는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으로, 대부분의 사람은 Rh-양성이며 적혈구에 Rh 인자가 있습니다. 그러나 소수의 사람들은 Rh-음성이며 적혈구에 Rh 인자가 없습니다.

Rh-음성 여성이 Rh-양성 태아를 임신하면 태아의 적혈구가 모체 혈류로 유입되어 어머니의 면역 체계가 Rh 인자를 이물질로 인식하게 됩니다. 어머니의 면역 체계는 이러한 이물질에 반응하여 Rh 항체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Rh 항체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 혈류에 들어가 태아의 Rh-양성 적혈구와 결합합니다. 이렇게 결합된 적혈구는 비장의 대식세포에 의해 파괴되어 태아의 빈혈과 황달을 유발합니다.

용혈성 질환의 증상

용혈성 질환의 증상은 태아의 적혈구 파괴 정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경증의 경우 황달, 빈혈, 졸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증의 경우 간, 비장, 심장과 같은 장기 손상, 수종, 저산소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용혈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용혈성 질환은 일반적으로 임신 중 Rh 항체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이 검사에서 Rh-음성 여성이 Rh 항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 의사는 정기적으로 태아의 혈액형과 혈구수를 모니터링합니다.

태아가 Rh-양성으로 진단되면 어머니에게 Rho(D) 면역글로불린(RhIg)이라는 주사제를 투여하여 Rh 항체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이 주사제는 일반적으로 임신 28주와 출산 후에 투여됩니다.

용혈성 질환이 중증의 경우 태아에게 태내수혈, 조기 분만, 광선 요법과 같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방

용혈성 질환은 Rho(D) 면역글로불린 주사제를 사용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 주사제는 Rh-음성 여성이 Rh-양성 태아를 임신했거나 유산, 낙태 후에 투여됩니다. 이 주사제는 어머니의 면역 체계가 Rh 인자에 반응하여 Rh 항체를 생성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용혈성 질환의 발생을 예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