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 살균법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10 조회 수

저온살균은 100℃ 미만의 온도, 예컨대 6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유해 미생물(박테리아, 곰팡이, 효모 등)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고온 살균과 달리 식품의 영양소와 풍미 손실을 최소화하며, 유통기한을 연장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는 병원균과 부패균의 개체 수를 감소시켜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저온살균법, 그 미묘한 온도의 마술: 식품의 안전과 풍미를 지키는 기술

저온살균, 흔히 파스퇴르 살균이라고도 불리는 이 기술은 19세기 프랑스의 과학자 루이 파스퇴르에 의해 개발되어 오늘날까지 식품 산업의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했습니다. 100℃ 미만의 온도, 일반적으로 60~70℃에서 일정 시간(보통 15분~30분) 가열하는 방법으로, 고온 살균과 달리 식품의 영양소와 풍미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유해 미생물을 제거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낮은 온도로 살균한다’는 것 이상의 복잡하고 미묘한 과학적 원리가 숨겨져 있습니다.

저온살균의 핵심은 열에 대한 미생물의 반응에 있습니다. 모든 미생물이 열에 동일하게 반응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미생물은 고온에서도 생존력을 유지하지만, 저온살균 온도에서도 활동을 멈추거나 사멸하는 종류가 있습니다. 저온살균은 이러한 미생물의 열 민감성을 이용하여 병원성 미생물과 부패균의 개체 수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특히, 내열성이 낮은 병원성 세균 (예: 리스테리아균, 살모넬라균)과 일부 효모, 곰팡이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열성이 강한 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예: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은 저온살균으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저온살균은 모든 미생물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충분한 수준으로 미생물 수를 감소시키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저온살균의 효과는 온도와 시간의 조합에 크게 좌우됩니다. 온도가 낮으면 살균 효과가 떨어지고, 시간이 짧으면 역시 살균이 불충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품의 종류, 미생물 오염 정도, 원하는 유통기한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온도와 시간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는 미생물학적 분석과 정교한 열처리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단순히 60℃에서 30분 가열한다고 모든 식품에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식품의 물리적 특성 (점도, 수분 함량 등)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더욱이, 저온살균은 단순히 살균의 효과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닙니다. 고온 살균은 식품의 영양소 파괴 및 풍미 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 반면, 저온살균은 이러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식품의 품질을 유지합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신선하고 영양가 높은 식품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장점입니다. 하지만 저온살균 후에도 냉장 보관 등 적절한 관리가 필수적이며, 완벽한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유통기한 내 섭취를 권장하는 이유입니다.

결론적으로, 저온살균은 단순한 열처리 방법이 아닌, 미생물학, 열역학, 식품공학 등 다양한 과학적 원리를 복합적으로 적용한 정교한 기술입니다.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는 과정은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필요로 하며, 앞으로도 식품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