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급성심근경색진단기준은 무엇인가요?

6 조회 수

가슴 중앙의 심한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고 식은땀, 구토, 호흡곤란 등이 동반된다면 급성 심근경색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골든타임 내 빠르게 응급실을 찾아 심전도 검사, 혈액 검사 등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질문이 있으신가요? 더 보기

WHO(세계보건기구)는 급성 심근경색증에 대한 단일, 공식적인 진단 기준을 발표하지 않습니다. WHO는 질병 분류 및 통계를 위한 국제 기준인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를 제공하지만, ICD는 급성 심근경색증의 진단을 위한 구체적인 알고리즘이나 절차를 제시하지 않습니다. ICD는 급성 심근경색증의 코드를 제공하여 질병 통계 및 관리를 위한 분류 체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따라서 “WHO 급성심근경색진단기준”이라는 표현은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진단은 임상 증상, 심전도 검사, 혈액 검사(특히 심근 손상 마커 측정) 등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 병력, 그리고 다양한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진단을 내립니다. 각 검사의 결과는 단독으로 진단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임상 증상: 가슴 중앙의 압박감, 쥐어짜는 듯한 통증, 답답함 등이 30분 이상 지속되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이러한 통증은 팔(특히 왼쪽), 목, 턱, 등으로 방사될 수 있으며, 식은땀, 구토, 호흡곤란, 현기증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남성과 다르게 통증이 덜 심하거나, 소화불량이나 피로감으로 나타날 수 있어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애매하더라도 가슴 통증이나 압박감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전도(ECG) 검사: 가장 중요한 진단 도구 중 하나입니다. 심근경색 시 심근의 괴사로 인해 심전도 파형에 특징적인 변화(ST분절 상승, ST분절 저하, T파 역전 등)가 나타납니다. 심전도 검사는 급성 심근경색을 빠르게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골든타임 내의 신속한 치료 결정에 필수적입니다.

혈액 검사: 심근 손상 마커(troponin, CK-MB 등)의 혈중 농도를 측정합니다. 심근 세포가 손상되면 이러한 마커들이 혈액으로 유출됩니다. 심근 손상 마커의 농도 상승은 심근경색을 강력하게 시사하지만, 심전도 소견과 병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단순히 마커 수치만으로 진단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검사: 심초음파, 관상동맥 조영술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심초음파는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고, 관상동맥 조영술은 관상동맥의 협착이나 폐쇄를 직접 확인하여 급성 심근경색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결론적으로, 급성 심근경색증의 진단은 단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증상, 심전도 검사, 혈액 검사, 그리고 필요에 따라 시행되는 추가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전문의가 내리는 것입니다. 가슴 통증을 경험하는 경우 지체하지 않고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가 진단을 시도하지 말고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