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분사형 PP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4 조회 수

p.p.는 past participle(과거분사)의 줄임말입니다. 동사는 기본형, 과거형, 과거분사형을 가지는데, go-went-gone에서 gone처럼 동사의 과거분사형을 p.p.로 표기합니다. 완료 시제나 수동태를 만들 때 사용되며, 형용사처럼 명사를 수식하기도 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p.p.) 심층 탐구: 형태, 기능, 그리고 활용

‘p.p.’는 영어 문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과거분사 (Past Participle)’의 약자입니다. 단순히 동사의 세 번째 형태를 지칭하는 것 이상으로, 과거분사는 시제, 태, 그리고 문장 내 다양한 역할 수행에 깊숙이 관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과거분사의 형태, 문법적 기능, 그리고 실제 문맥에서의 활용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그 중요성을 명확히 하고자 합니다.

1. 과거분사의 형태와 형성:

대부분의 규칙 동사는 어미에 ‘-ed’를 붙여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을 동일하게 형성합니다 (예: walk – walked – walked). 그러나 불규칙 동사는 다양한 형태로 과거분사를 형성하므로 암기가 필요합니다 (예: go – went – gone, eat – ate – eaten). 불규칙 동사의 과거분사 형태는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꾸준한 학습과 반복적인 노출을 통해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일부 동사는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이 같지만(예: cost – cost – cost, cut – cut – cut), 의미와 문맥에 따라 구별해야 합니다.

2. 과거분사의 주요 문법적 기능:

과거분사는 문법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

  • 완료 시제 형성: 현재완료 (have/has + p.p.), 과거완료 (had + p.p.), 미래완료 (will have + p.p.) 시제를 구성하여 특정 시점까지 완료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I have finished my homework”는 현재까지 숙제를 완료했음을 의미합니다.
  • 수동태 형성: be 동사 + p.p. 형태로 수동태를 구성하여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의 대상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The window was broken”은 창문이 깨진 동작의 대상임을 나타냅니다. 수동태는 누가 동작을 수행했는지 중요하지 않거나, 동작을 수행한 주체를 명확히 밝히고 싶지 않을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형용사 역할: 과거분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수행하여 명사의 상태나 특징을 묘사합니다. 예를 들어, “a broken window”에서 ‘broken’은 ‘window’를 수식하여 깨진 창문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때 과거분사는 수동적인 의미나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분사구문 형성: 과거분사는 분사구문을 통해 문장을 간결하게 만들고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Abandoned by his parents, the boy was left alone”에서 ‘Abandoned’는 ‘the boy’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사구문입니다.

3. 과거분사의 다양한 활용:

과거분사는 다양한 문맥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식을 설명할 때 “roasted chicken (구운 닭)”, “baked potato (구운 감자)”와 같이 조리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물건의 상태를 묘사할 때 “used car (중고차)”, “damaged goods (손상된 상품)”와 같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할 때도 “unspoken words (말하지 않은 말)”, “forgotten memories (잊혀진 기억)”와 같이 과거분사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주의해야 할 점:

과거분사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능동과 수동의 구별: 과거분사는 수동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능동적인 의미를 나타내고자 할 때는 현재분사(-ing)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interesting book (흥미로운 책)”은 능동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반면, “interested person (관심 있는 사람)”은 수동적인 의미를 나타냅니다.
  • 시제 일치: 완료 시제를 사용할 때는 주절의 시제와 완료 시제의 시제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 분사구문의 의미상의 주어: 분사구문의 의미상의 주어는 주절의 주어와 일치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과거분사는 영어 문법의 중요한 요소이며, 정확한 이해와 활용은 보다 풍부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양한 예시와 연습을 통해 과거분사의 형태, 기능, 그리고 활용을 숙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