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의 학명은 무엇인가요?

14 조회 수

비자나무의 학명은 Torreya nucifera (L.) Siebold & Zucc. 1846입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 최소관심(LC)종으로 분류되어 있어 현재 멸종 위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입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비자나무의 학명

비자나무(Torreya nucifera)는 겉씨식물문, 구과식물강, 침엽수목강, 비자목, 비자과에 속하는 침엽수입니다. 학명은 Torreya nucifera (L.) Siebold & Zucc. 1846입니다.

학명의 첫 번째 부분인 Torreya는 뉴욕주 출신의 식물학자 존 토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습니다. 두 번째 부분인 nucifera는 핵과를 뜻하는 라틴어로, 비자나무의 단단한 핵을 가진 씨앗을 나타냅니다.

분류학적 특징

비자나무는 상록수로, 높이는 10~20미터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좁은 침형으로 길이는 2~4센티미터입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약간 벌어져 있습니다.

비자나무는 단성수로 수꽃과 암꽃이 다른 나무에 납니다. 수꽃은 구과에 달리며 길이는 약 1센티미터입니다. 암꽃은 씨를 맺는 핵과로, 지름이 약 2센티미터입니다.

분포와 서식지

비자나무는 일본, 중국, 한국의 원산입니다. 한국에서는 남부 해안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비자나무는 해안가의 바위지대, 산림, 사찰 주변에서 자랍니다.

보존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는 비자나무를 최소관심(LC)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 않지만, 서식지 파괴, 삼림 벌채,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보전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용

비자나무의 목재는 질기고 내구성이 있어 가구, 건축 자재, 악기 등에 사용됩니다. 씨앗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기름을 추출하여 식용유나 의약품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