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절(if절)의 형태는 어떻게 되나요?

0 조회 수

조건절은 만약 과거에 다른 일이 일어났더라면 어땠을지 상상하는 데 사용됩니다. 만약 절에는 if에 과거형 동사가 이어집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조건절(if절)의 형태

조건절은 만약 과거에 다른 일이 일어났더라면 어땠을지 상상하는 데 사용되는 문법 구조입니다. 조건절에는 주절과 부절이라는 두 가지 부분이 있습니다.

주절

주절은 조건절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과거형 또는 현재완료형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절

부절은 조건을 나타냅니다. if에 이어 과거형 동사가 사용됩니다.

조건절의 형태

조건절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1. 1형 조건절:

  • 과거에 가능했지만 실현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합니다.
  • 주절: 과거형
  • 부절: if + 과거형
  • 예시: If I had studied harder, I would have passed the exam.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시험에 합격했을 텐데.)

2. 2형 조건절:

  • 현재 또는 미래에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합니다.
  • 주절: would + 동사원형
  • 부절: if + 과거미완형
  • 예시: If I were a president, I would change the education system. (내가 대통령이라면 교육 시스템을 바꿀 텐데.)

3. 3형 조건절:

  • 과거에 실제로 일어났지만 결과가 달랐을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합니다.
  • 주절: would have + 과거분사
  • 부절: if + 과거완료형
  • 예시: If I had taken your advice, I would have avoided this mistake. (너의 조언을 따랐더라면 이 실수를 피했을 텐데.)

4. 혼합 조건절:

  • 현재의 상황을 가정하고 과거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 주절: 과거완료형
  • 부절: if + 과거미완형
  • 예시: If I had known about this earlier, I would have been better prepared. (이걸 더 일찍 알았더라면 더 잘 대비했을 텐데.)

주의 사항:

  • 조건절은 항상 과거형을 사용합니다.
  • 부절의 if는 생략될 수 있습니다.
  • 주절과 부절의 시제는 일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