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형식 사역동사 예문은 어떻게 되나요?

0 조회 수

make, let, have처럼 5형식 문장에서 사역동사가 본동사 역할을 합니다.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필수이며, 목적격 보어 자리에는 동사원형 또는 과거분사가 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 teacher had the students clean the classroom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교실을 청소하게 했다)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적어가 직접 행위를 하는 경우 동사원형을, 당하는 경우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5형식 문장에서 사역동사는 주어가 다른 누군가에게 어떤 행위를 시키는 것을 나타냅니다. ‘시키다’, ‘하게 하다’ 등의 의미를 지닌 이 동사들은 목적어와 그 목적어가 하는 행위를 설명하는 목적격 보어를 반드시 필요로 합니다. 이때 목적격 보어의 형태는 목적어가 행위의 주체인지 객체인지에 따라 동사원형 또는 과거분사로 결정됩니다. 단순히 ‘목적어가 직접 행위를 하면 동사원형, 당하면 과거분사’라는 설명은 다소 부정확하며, 맥락과 사역동사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해야 올바른 보어 형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흔히 사용되는 사역동사인 make, let, have를 중심으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각 동사의 미묘한 의미 차이와 목적격 보어 선택의 원리를 예시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make (강제/결과 강조): make는 목적어에게 어떤 행위를 강제적으로 시키는 것을 나타냅니다. 결과에 초점을 맞추며, 목적어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행위가 이루어짐을 강조합니다. 목적격 보어로는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단, 수동태로 만들어졌을 때는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 예시:
    • He made me clean the messy room. (그는 나에게 어지러운 방을 청소하도록 강제했다.) – ‘나’가 청소 행위의 주체이지만, 강제성이 강조됩니다.
    • The news made him cry. (그 소식은 그를 울게 만들었다.) – ‘그’가 우는 행위의 주체이지만, 소식이라는 외부 요인에 의해 강제적으로 울게 된 것입니다.
    • I was made to work overtime. (나는 야근하도록 강요당했다.) – 수동태 문장에서 과거분사 ‘work’를 사용합니다.

2. let (허락/자유 의지): let은 목적어에게 어떤 행위를 허락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목적어의 자유 의지를 존중하며, 행위에 대한 강제성은 없습니다. 목적격 보어로는 항상 동사원형만을 사용합니다. 수동태로는 만들 수 없습니다.

  • 예시:
    • My mother let me go to the party. (어머니는 내가 파티에 가도록 허락하셨다.) – ‘나’가 파티에 가는 것을 스스로 결정했습니다.
    • Don’t let the cat out. (고양이를 밖으로 내보내지 마세요.) – 고양이가 나가는 행위를 허락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3. have (시키다/주선하다): have는 make와 let의 중간 성격을 갖습니다. 목적어에게 어떤 행위를 시키는 것을 나타내지만, make처럼 강제적인 느낌보다는 주선이나 의뢰의 의미가 강합니다. 목적격 보어로는 동사원형과 과거분사 모두 사용 가능하며, 목적어가 행위의 주체인지 객체인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 예시:
    • I had the mechanic repair my car. (나는 정비사에게 내 차를 수리하도록 했다.) – ‘정비사’가 수리 행위의 주체입니다. (동사원형)
    • I had my hair cut. (나는 머리를 잘랐다.) – ‘나’는 머리가 잘리는 행위의 객체입니다. (과거분사) – 이 경우 ‘나’는 머리를 자르는 행위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맡겼다는 의미가 내포됩니다.

결론적으로, 5형식 사역동사의 목적격 보어는 단순히 ‘직접/간접’ 행위 여부만으로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각 사역동사의 의미와 맥락을 정확히 파악하고, 목적어가 행위에 대해 얼마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지 고려하여 동사원형 또는 과거분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단순히 암기식 접근보다는 문장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