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분류기준은 무엇인가요?

0 조회 수

한국에서는 버스의 크기와 승차 정원을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일반적으로 11~15인승은 소형, 16~35인승은 중형, 36인승 이상은 대형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시내버스는 좌석 수가 25석 전후일지라도 입석 승객과 차량 크기를 고려하여 대형 버스로 분류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한국에서 버스는 단순히 크기와 승차 정원만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닙니다. 크기와 승객 수는 기본적인 분류 기준이지만, 용도, 운행 지역, 연료, 차체 구조 등 다양한 기준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버스를 분류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분류 기준을 살펴보면 버스의 종류가 얼마나 다양하고 세분화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1. 용도에 따른 분류:

  • 시내버스: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버스로, 출퇴근 및 시민들의 이동 편의를 위한 대중교통 수단입니다. 일반적으로 입석 공간이 많고, 정류장 간 간격이 짧습니다. 저상버스, 굴절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습니다.

  • 시외버스/고속버스: 도시 간 이동을 위한 버스로, 시외버스는 비교적 짧은 거리, 고속버스는 장거리 운행에 사용됩니다. 시외버스는 일반형과 우등형으로 나뉘며, 고속버스는 우등형과 프리미엄형으로 나뉩니다. 좌석의 편의성과 서비스 수준에 따라 요금이 차등 적용됩니다.

  • 마을버스: 일반 시내버스가 운행하기 어려운 좁은 골목길이나 외곽 지역을 운행하는 소형 버스입니다. 시내버스보다 배차 간격이 길고 운행 거리가 짧은 것이 특징입니다.

  • 전세버스: 특정 단체나 개인이 빌려서 사용하는 버스입니다. 관광, 통근, 통학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크기와 편의시설에 따라 가격이 다릅니다. 최근에는 프리미엄 전세버스가 등장하여 높은 수준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셔틀버스: 특정 구간을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버스로, 주로 공항, 대학교, 리조트 등에서 운영됩니다. 무료로 운행되는 경우도 많으며,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운행됩니다.

2. 크기 및 승차 정원에 따른 분류:

앞서 언급했듯이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뉘지만, 실제로는 더욱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미니버스, 준중형버스 등의 분류도 존재하며, 동일한 승차 정원이라도 차체 길이에 따라 분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연료에 따른 분류:

  • 경유 버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버스로, 연료 효율이 높고 유지 보수가 용이합니다.

  • CNG 버스: 압축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버스로, 경유 버스보다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이 적습니다.

  • 전기 버스: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버스로, 배기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친환경적입니다. 최근 도입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 수소 버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버스로, 물만 배출하기 때문에 가장 친환경적인 버스로 꼽힙니다.

4. 차체 구조에 따른 분류:

  • 저상버스: 바닥이 낮아 교통약자의 승하차가 편리한 버스입니다.

  • 굴절버스: 두 개의 차체가 연결된 형태의 버스로, 수송량이 많습니다.

  • 2층 버스: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 버스로, 관광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처럼 버스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며, 각각의 버스는 용도와 특징에 맞게 설계 및 운영됩니다. 앞으로도 친환경 기술 발전과 교통 환경 변화에 따라 더욱 다양한 형태의 버스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