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이 유네스코에 등재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14 조회 수

2013년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김장문화는 단순히 김치 제조법이 아닌, 김장을 통해 이웃과 함께 나누고, 가족의 화합을 도모하는 한국인의 공동체적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김장은 함께 만들고 나누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하며, 이는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지닌 문화적 행위로 인정받았습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201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김장문화’는 단순히 김치를 담그는 기술이나 레시피를 넘어, 한국 사회의 깊숙한 곳에 자리 잡은 공동체 의식과 전통, 그리고 가족애를 보여주는 복합적인 문화유산입니다. 단순히 김치라는 음식 자체가 아닌, 김장 과정과 그 속에 담긴 의미, 그리고 그 의미가 만들어내는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이 인정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유네스코 등재의 배경에는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지만, 그 핵심은 바로 ‘공유’와 ‘나눔’이라는 인류 보편적인 가치에 기반한 한국 사회의 독특한 공동체 문화에 있습니다.

첫째, 김장은 대규모의 집단 작업입니다. 가을걷이가 끝난 후, 각 가정은 겨울철 김치를 담그기 위해 친척, 이웃, 마을 사람들과 함께 김장을 합니다. 단순히 김치를 만드는 과정을 넘어, 함께 땀 흘리고, 서로 도우며, 웃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고, 이웃 간의 유대감이 돈독해집니다. 이는 현대 사회의 개인주의적인 경향과는 대조적인, 소중한 사회적 자본 형성의 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개인 간의 유대감이 약화되는 현대 사회에서, 김장은 이러한 사회적 연결성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둘째, 김장은 가족의 화합과 연대를 상징합니다. 김장은 단순히 음식을 만드는 행위를 넘어, 여러 세대가 함께 참여하는 중요한 가족 행사입니다. 할머니, 어머니, 딸, 손녀 등 여러 세대가 함께 김치를 담그면서, 요리 기술과 전통을 전승하고, 서로의 정을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김장을 통해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며, 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합니다. 이는 점차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세대 간 소통이 부족해지는 현대 사회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김장은 가족 구성원들에게 공동의 목표와 경험을 제공하며, 세대 간의 연결고리를 유지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셋째, 김장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자연과의 조화를 보여줍니다. 김치의 재료인 배추와 무는 한국의 기후와 토양에 적합하게 재배되며, 김장은 이러한 자연의 순환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또한, 김장 문화는 수백 년 동안 이어져 온 한국인의 생활 방식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유네스코는 이러한 김장 문화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와 더불어,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을 보여주는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결론적으로, 김장 문화의 유네스코 등재는 단순히 김치라는 음식의 가치를 인정한 것이 아닙니다. 이는 한국인의 공동체 의식, 가족애, 그리고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보여주는 복합적인 문화유산에 대한 인정이며, ‘공유’와 ‘나눔’이라는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구현하는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결과입니다. 김장은 단순한 음식 제조를 넘어, 한국 사회의 정체성과 공동체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