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가구 수는 얼마인가요?

6 조회 수

한국 내 가구 수는 2023년 1월 기준 21,448,463호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중 1인 가구가 7,165,788호를 차지하며, 집단가구는 10,654호, 6인 이상 비친족 가구는 6,678호에 달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2023년 1월 기준 대한민국의 가구 수는 21,448,463호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약 42%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가구 유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인 가구: 7,165,788호 (전체 가구 수의 33.4%)

1인 가구란 한 명만 거주하는 가구를 말합니다. 대한민국에서 1인 가구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늦은 결혼 연령, 출산율 감소, 노인 인구 증가와 같은 여러 사회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2인 가구: 8,113,032호 (37.8%)

2인 가구란 두 명만 거주하는 가구를 말합니다. 2인 가구는 일반적으로 부부 또는 연인 관계로 구성됩니다.

3인 가구: 3,579,441호 (16.7%)

3인 가구란 세 명만 거주하는 가구를 말합니다. 3인 가구는 일반적으로 부모와 자녀로 구성되거나, 세 명의 성인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4인 가구: 2,219,515호 (10.4%)

4인 가구란 네 명만 거주하는 가구를 말합니다. 4인 가구는 일반적으로 두 명의 부모와 두 명의 자녀로 구성됩니다.

5인 가구: 370,687호 (1.7%)

5인 가구란 다섯 명만 거주하는 가구를 말합니다. 5인 가구는 일반적으로 두 명의 부모와 세 명의 자녀로 구성됩니다.

6인 이상 가구: 6,678호 (0.03%)

6인 이상 가구란 여섯 명 이상이 거주하는 가구를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확대 가족이나 세대 간 가구로 구성됩니다.

집단 가구: 10,654호 (0.05%)

집단 가구란 관련성이 없는 다수의 개인이 함께 거주하는 가구를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학생 기숙사, 노인 복지 시설, 장애인 시설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구 수 집계는 주민등록 시스템을 기반으로 산출되며, 통계청에서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습니다. 가구 수의 변화는 인구 구조, 사회 경제적 요인, 주택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