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거리비례 버스 요금은 어떻게 되나요?

4 조회 수

03 경기순환버스단독요금은 거리비례제로 운영됩니다. 기본 구간(30km) 내 기본 요금이 적용되며, 초과 시 60km까지는 5km마다 100원, 그 이상은 100원이 추가됩니다. 환승 시에는 기본 구간 내 기본 요금이 적용되고, 초과 시 5km마다 100원이 추가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경기도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 중 하나로 거리비례 요금제가 도입된 버스 노선들이 존재합니다. 특히 경기순환버스의 단독 요금 체계는 거리비례 요금제를 기반으로 운영되는데, 복잡한 요금 체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이용객들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경기순환버스의 거리비례 요금제를 명확하고 자세하게 설명하여 이용객들의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단순한 요금표 제시를 넘어, 실제 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과 예시를 통해 보다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먼저, 경기순환버스의 기본적인 요금 구조는 기본 구간과 초과 구간으로 나뉩니다. 기본 구간은 30km이며, 이 구간 내에서는 기본 요금이 적용됩니다. 기본 요금의 정확한 금액은 버스 노선 및 시간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버스의 안내 표시 또는 교통카드 단말기의 표시를 확인해야 합니다. 단순히 “기본 요금”이라고만 표기하기보다는, 실제 금액을 알 수 있도록 노선별 기본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이용객에게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기본 요금은 1,250원입니다.”)

기본 구간인 30k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거리에 따라 요금이 추가됩니다. 30km를 초과하여 60km까지는 5km마다 100원씩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35km를 이동하는 경우 기본 요금에 100원(5km 초과)이 추가되고, 40km를 이동하는 경우 기본 요금에 200원(10km 초과)이 추가됩니다. 이처럼 5km 단위로 추가 요금이 부과되므로, 정확한 거리를 확인하는 것이 경제적인 이용에 도움이 됩니다.

60km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100원씩 추가됩니다. 이는 5km 단위가 아닌, 1km 단위로 추가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합니다. 60km를 넘어선 거리는 1km마다 100원의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장거리 이용 시에는 요금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환승의 경우, 약간 다른 요금 체계가 적용됩니다. 환승 시에도 기본 구간(30km) 내에서는 기본 요금만 적용됩니다. 하지만 기본 구간을 초과하는 경우, 5km마다 100원의 추가 요금이 부과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첫 번째 버스 이용 시의 거리와 두 번째 버스 이용 시의 거리를 합산하여 30km 초과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입니다. 즉, 첫 번째 버스에서 25km를 이동하고 두 번째 버스에서 10km를 이동했다면, 총 35km가 되어 100원의 추가 요금이 발생합니다.

요약하자면, 경기순환버스의 거리비례 요금제는 기본 구간 30km까지는 기본 요금이 적용되고, 그 이상은 5km 또는 1km 단위로 추가 요금이 발생하는 체계입니다. 환승 시에도 기본 구간을 초과하면 거리에 따라 추가 요금이 부과되며, 총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계산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용한다면, 경기순환버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경기도 교통정보 사이트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요금 확인 및 노선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