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 단리와 복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7 조회 수

단리와 복리는 이자 계산 방식이 다릅니다.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적용되고, 복리는 이자도 원금에 포함되어 이자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복리를 선택하는 것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적금 단리와 복리의 차이점

적금 계좌에 돈을 저축할 때 단리와 복리 중에서 선택하게 됩니다. 이 두 가지 방식의 주요 차이점은 이자 계산 방식에 있습니다.

단리

단리에서는 이자가 원금에만 적용됩니다. 즉, 첫 해에는 원금에 이자율을 곱해 그 해의 이자를 산출합니다. 그리고 이후 매년 원금에 새로운 이자를 더해 이자를 산출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5% 이자율로 단리 적금 계좌에 예치했다고 하면 첫 해에 5만 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두 번째 해에는 원금인 100만 원에 이자율을 곱해 5만 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매년 5만 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복리

복리에서는 이자가 원금과 이미 발생한 이자에 모두 적용됩니다. 즉, 첫 해에는 원금에 이자율을 곱해 그 해의 이자를 산출합니다. 그러나 이후 매년 이자도 원금에 더해져 새로운 원금이 됩니다. 그리고 이 새로운 원금에 이자율을 곱해 이자를 산출합니다.

위의 예를 복리로 적용해 보면 첫 해에 5만 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두 번째 해에는 원금 100만 원과 이자 5만 원을 더한 105만 원에 이자율을 곱해 52,500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매년 이자가 증가합니다.

차이점 비교

같은 예를 사용하여 단리와 복리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간 단리 이자 복리 이자
1년 50,000원 50,000원
2년 50,000원 52,500원
3년 50,000원 55,125원
10년 50,000원 61,357원
20년 50,000원 78,038원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장기적으로 볼 때 복리가 더 많은 이자를 생성합니다. 그 이유는 매년 발생하는 이자가 원금에 더해져서 이자를 더 많이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결론

적금 계좌에 돈을 예치할 때 단리와 복리 중에서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 결정입니다. 장기적으로 저축하려는 경우에는 복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리 방식은 단기 저축에 더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