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FI가 상승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0 조회 수

홍해 사태로 인한 운송 차질과 중국발 물량 급증이 맞물리면서, SCFI 지수가 급등했습니다. 2023년 1월 대비 2024년 7월에는 무려 274%나 상승, 3650.37포인트를 기록하며 해운 시장의 불안정성을 여실히 드러냈습니다. 수요 증가와 공급 병목 현상이 상승세를 견인한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2024년 7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3650.37포인트를 기록하며 2023년 1월 대비 274%라는 경이적인 상승률을 보였다. 마치 롤러코스터처럼 급등락을 반복하는 해운 운임의 변동성은 팬데믹 이후 더욱 심화되었지만, 이번 상승폭은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단순히 홍해 사태와 중국발 물량 급증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우선,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물동량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 이후, 각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소비 심리 회복이 맞물리며 상품 수요가 급증했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소비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는 아시아발 물동량 급증으로 이어졌다. 이는 해운 시장의 공급 부족 현상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홍해 사태가 발생하면서 수에즈 운하를 통한 물류 이동에 차질이 생겼다. 수에즈 운하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최단 해상 운송로로, 세계 물동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사태 장기화로 인해 선박들은 아프리카 남단을 우회해야 했고, 이는 운송 시간과 비용 증가로 이어졌다. 선박 운항 스케줄의 혼란은 항만 적체를 가중시키고, 컨테이너 수급 불균형을 심화시켜 운임 상승을 부추겼다.

또한, 중국 경제의 빠른 회복세도 SCFI 급등에 영향을 미쳤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생산 활동이 정상화되면서 수출 물량이 급증했고, 이는 글로벌 해운 시장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특히,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두고 중국발 물량이 집중되는 시기와 맞물리면서 운임 상승 압력이 더욱 커졌다.

하지만, 이러한 단기적인 요인 외에도 구조적인 문제점들이 SCFI 상승에 기여했다는 분석도 있다. 선사들의 공급망 관리 전략 변화, 즉 선복량 조절을 통한 운임 관리 전략이 운임 상승을 부추겼다는 것이다. 팬데믹 기간 동안 급격한 운임 변동을 경험한 선사들은 선복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며 수익성 극대화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SCFI의 급등은 홍해 사태와 중국발 물량 급증과 같은 단기적 요인뿐 아니라,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선사들의 공급망 관리 전략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이다. 향후 SCFI의 추이는 글로벌 경기 회복 속도, 수에즈 운하의 정상화 여부, 선사들의 선복량 조절 전략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만큼, 관련 업계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탄력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