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형식 인식동사는 무엇입니까?

9 조회 수

인식 동사로는 믿다(believe), 간주하다(consider), 선언하다(declare), 발견하다(discover), 찾다(find), 상상하다(imagine), 알다(know), 가정하다(suppose), 증명하다(prove), 여기다(deem), 느끼다(feel), 생각하다(think)가 있습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인식 동사 5형식

인식 동사는 화자의 인식, 믿음, 의견을 표현하는 동사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나타냅니다. 한국어에 있는 인식 동사는 다양하며, 주로 다음 5가지 형식으로 분류됩니다.

1. ~다 알다

  • 이 형식의 인식 동사는 화자가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확실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예시: 나는 그가 잘못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 알다: 인식의 수준이 가장 높음.

2. ~라고 생각하다

  • 이 형식의 인식 동사는 화자가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추측하거나 의견을 표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예시: 저는 오늘 비가 올 것 같아요.
  • 생각하다: 알다보다 불확실한 인식.

3. ~로 여기다

  • 이 형식의 인식 동사는 화자가 대상이나 상황을 특정한 것으로 간주하거나 믿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예시: 그는 훌륭한 지도자로 여겨진다.
  • 여기다: 대상에 대한 화자의 평가나 분류.

4. ~하다고 느끼다

  • 이 형식의 인식 동사는 화자가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감정적 반응이나 주관적인 평가를 표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예시: 저는 그가 진실하지 않다고 느껴집니다.
  • 느끼다: 감정이나 직감에 기반한 인식.

5. ~인 줄 알다

  • 이 형식의 인식 동사는 화자가 대상이나 상황이 특정한 것으로 착각하거나 오해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예시: 저는 그가 내 친구인 줄 알았습니다.
  • 인 줄 알다: 착각이나 오해를 표현하는 인식 동사.

인식 동사는 화자가 세상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방식을 반영하며, 의사 소통에서 화자의 주관적인 관점을 전달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