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불량성빈혈의 혈소판 수치는 어떻게 되나요?

8 조회 수

중증 재생불량성빈혈은 혈소판 수치가 20,000/µL 미만으로 현저히 감소합니다. 이와 함께 절대 호중구 수 500/µL 미만, 또는 교정 망상적혈구 수 1% 미만(절대 망상적혈구 수 50,000/µL 미만) 등의 다른 혈구 감소 증상이 동반됩니다. 두 가지 이상의 혈구 감소가 나타나면 중증으로 분류되며, 특히 절대 호중구 수가 200/µL 미만일 경우 더욱 심각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골수검사에서 세포충실성 감소도 중요한 진단 지표입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재생불량성빈혈은 골수에서 혈구를 생성하는 조혈모세포의 기능 장애로 인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모든 혈구의 생성이 감소하는 질환입니다. 이 중 혈소판 감소는 출혈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는 중요한 증상이며, 질병의 중증도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하지만 혈소판 수치만으로 재생불량성빈혈의 중증도를 완벽히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다른 혈구 수치와 골수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의 혈소판 수치는 20,000/µL 미만으로 극도로 감소합니다. 이는 정상 혈소판 수치(150,000~450,000/µL)에 비해 훨씬 낮은 수치로, 작은 충격에도 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자발적인 출혈, 멍이 잘 드는 증상(자반증), 코피, 잇몸 출혈 등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에는 위장관 출혈, 뇌출혈 등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소판 수치가 20,000/µL 미만으로 떨어지면 즉각적인 의료 개입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혈소판 수치만으로는 재생불량성빈혈의 전체적인 심각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재생불량성빈혈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모두 감소하는 팬시토페니아(pancytopenia)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대 호중구 수(ANC, Absolute Neutrophil Count)와 망상적혈구 수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절대 호중구 수는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500/µL 미만으로 감소하면 감염 위험이 현저히 증가합니다. 200/µL 미만이면 매우 심각한 감염 위험에 처하게 됩니다. 망상적혈구는 미성숙 적혈구로, 그 수치는 골수의 적혈구 생성 능력을 반영합니다. 교정 망상적혈구 수가 1% 미만(절대 망상적혈구 수 50,000/µL 미만)인 경우 적혈구 생성이 매우 저하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중증 재생불량성빈혈은 이러한 혈구 감소가 두 가지 이상 동반되는 경우로 정의됩니다. 예를 들어, 혈소판 수치 20,000/µL 미만과 절대 호중구 수 500/µL 미만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중증으로 분류됩니다. 특히 절대 호중구 수가 200/µL 미만이면 감염에 대한 취약성이 매우 높아져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신속한 치료가 필수적이며, 골수이식 등의 강력한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재생불량성빈혈의 혈소판 수치는 질병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지만,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습니다. 혈소판 수치와 함께 절대 호중구 수, 망상적혈구 수를 포함한 모든 혈구 수치와 골수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혈소판 수치가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가 치료를 시도하지 말고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건강 회복에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