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당은 어떻게 표기하나요?

8 조회 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00ml당 5kcal 미만일 경우 제로(0)로 표기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로칼로리 식품은 100ml당 에너지 함량이 5kcal 이하인 식품을 의미합니다. 이 기준은 식품 표시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제로(0)라는 표기는 소비자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현대 사회에서 ‘제로칼로리’, ‘제로슈가’, ‘제로지방’ 등의 표현은 상품의 경쟁력을 크게 높이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표기에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며, 소비자는 단순한 광고 문구가 아닌, 그 뒤에 숨겨진 법적 기준과 실제 함량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준에 따르면, ‘제로’라는 표기는 에너지 함량(칼로리) 뿐 아니라, 당류, 지방 등 다양한 영양 성분에 적용될 수 있지만, 각 성분별로 허용되는 오차 범위가 다릅니다. 특히,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제로칼로리’의 경우, 100ml(또는 100g)당 5kcal 미만일 때 ‘제로(0)’로 표기가 가능합니다. 이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와 소비자의 이해도를 고려한 결과입니다. 5kcal 미만이라 함은, 사실상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의 에너지 함량을 의미하는 것이지, 절대적인 ‘0’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0kcal라고 표기되어 있어도, 미량의 칼로리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로슈가’의 경우에는 100ml(또는 100g)당 당류 함량이 0.5g 미만일 때 ‘제로(0)’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이 기준 역시 측정상의 오차를 감안한 결과이며, 완벽한 ‘무당’ 제품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소량의 당류가 함유되어 있더라도, 소비자에게 ‘당 함량이 매우 낮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찬가지로 ‘제로지방’은 100ml(또는 100g)당 지방 함량이 0.5g 미만일 때 사용 가능합니다. 이 역시 미량의 지방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제로’라는 표기는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기 때문에, 일부 업체에서는 과장 광고나 소비자 오인을 유발하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전체 함량이 아닌 일부 성분에만 ‘제로’ 표기를 적용하거나, ‘제로’라는 단어를 강조하여 다른 영양 성분의 높은 함량을 가리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자는 단순히 ‘제로’라는 표기에 현혹되지 말고, 제품의 영양 성분 표를 꼼꼼히 확인하여 실제 함량을 파악하고, 자신의 건강 상태와 식단 계획에 맞춰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로’는 편리함과 건강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표기이지만, 그 의미와 한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현명하게 소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제로’ 표기는 절대적인 ‘0’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법적으로 허용된 범위 내에서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대적인 표현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따라서 제품 선택 시에는 전체 영양 성분표를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