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교신저자의 표기법은?

6 조회 수

논문 저자 표기법: 주 저자 이름 오른쪽에 별표()를 붙입니다. 공동 저자도 이름 오른쪽에 별표()를 붙이고, 제1 저자와 공동 저자가 2명 이상인 경우에는 Co-corresponding Author to:와 함께 ‡ 또는 * 표시를 추가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논문 저자 표기법: 공동 교신 저자의 명확한 표기법 확립의 중요성

학술 논문은 지식 창출과 학문적 발전의 핵심적인 도구입니다. 이러한 논문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각 저자의 기여도를 명확히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연구의 전반적인 과정에 깊이 관여하고, 논문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는 교신 저자의 표기는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됩니다. 하지만, 교신 저자의 표기법은 학문 분야별, 학술지별로 다소 상이하며, 명확한 기준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동 교신 저자의 표기법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통일된 기준 마련은 학문적 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 윤리를 확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논문 저자 표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 저자는 이름 오른쪽에 별표()를 붙여 표시하고, 공동 저자 역시 이름 오른쪽에 별표()를 붙여 표시합니다. 이때, 제1 저자와 공동 저자가 2명 이상인 경우에는 “Co-corresponding Author to:”와 함께 ‡ 또는 * 표시를 추가하여 교신 저자를 명확하게 구분합니다. 이러한 표기법은 각 저자의 역할과 기여도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몇 가지 개선해야 할 점이 존재합니다.

첫째, 별표(*) 기호의 중복 사용은 가독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주 저자와 공동 저자 모두에게 별표를 사용하는 것은 누가 논문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는지, 누가 교신 저자인지를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따라서, 주 저자에게는 다른 기호(예: †)를 사용하거나, 별표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등의 시각적인 차별화를 통해 가독성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Co-corresponding Author to:”라는 문구는 번거롭고 공간을 많이 차지합니다. 논문 초록이나 참고 문헌 목록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는 이러한 문구를 사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결하고 직관적인 기호 체계를 개발하여 교신 저자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를 들어, 공동 교신 저자에게는 이중 별표(**)를 사용하거나, 각 교신 저자에게 고유한 기호(예: #, $, %)를 부여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셋째, 학문 분야별로 상이한 표기법은 연구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의학 분야에서는 주로 ‡ 기호를 사용하는 반면, 공학 분야에서는 * 기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은 연구자들이 논문을 읽고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학문 분야 간의 소통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계 전체가 합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일된 표기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공동 교신 저자의 표기법은 논문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연구 윤리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재 사용되는 표기법은 일부 개선해야 할 점이 있으며, 가독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간결하고 직관적인 기호 체계를 개발해야 합니다. 또한, 학문 분야별로 상이한 표기법을 통일하여 연구자들의 혼란을 줄이고 학문적 소통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논문은 더욱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전달 수단으로서 그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학계는 공동 교신 저자 표기법에 대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