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얼마인가요?

6 조회 수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12.0107u이며, 괄호 안의 숫자 (8)은 마지막 자릿수의 불확실성을 나타냅니다. 이 값은 지구상의 탄소 동위원소 존재 비율을 고려하여 결정된 표준 원자량입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탄소 역시 대부분의 다른 원소와 마찬가지로 자연적으로 여러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한다. 동위원소는 원자 번호가 동일하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원자의 종류를 말한다. 가장 흔한 탄소 동위원소는 6개의 양성자와 6개의 중성자를 가진 탄소-12이다. 탄소-12는 자연에 존재하는 탄소 동위원소 중 약 98.9%를 차지한다. 또한 탄소-13과 탄소-14와 같은 다른 동위원소도 존재하며, 각각 1개와 2개의 중성자가 더 있다. 탄소-13은 자연에 존재하는 탄소의 약 1.1%, 탄소-14는 극히 미량 존재한다.

원자량은 특정 원소의 원자 한 개의 평균 질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원자 질량 단위(u)로 표시된다. 1u는 탄소-12 원자 질량의 1/12이다.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자연에 존재하는 각 동위원소의 원자량과 존재 비율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즉,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평균 원자량 = (동위원소 1의 원자량 × 동위원소 1의 존재 비율) + (동위원소 2의 원자량 × 동위원소 2의 존재 비율) + …

탄소의 경우, 평균 원자량은 다음과 같다.

평균 원자량 = (12.0000u × 0.9893) + (13.0034u × 0.0107) = 12.0107u

따라서 탄소의 평균 원자량은 12.0107u이다. 이 값은 괄호 안의 숫자(8)가 마지막 자릿수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표준 원자량이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자연에 존재하는 탄소 동위원소의 존재 비율에 대한 측정 오차에 기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