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응급 간호는 어떻게 하나요?

9 조회 수

심폐소생술은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의식 확인, 119 신고 후 가슴 압박을 시작하고, 2회의 인공호흡을 실시하는 순서로 진행합니다. 30번의 가슴 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반복하며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숙련된 응급 구조원이 도착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계속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심폐소생술(CPR), 생명을 붙잡는 필수 기술

갑작스러운 심정지, 혹은 호흡곤란은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는 끔찍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심폐소생술(CPR)은 생명을 구하는 마지막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막막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CPR은 제대로 된 교육과 이해 없이는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심폐소생술 응급 간호의 올바른 절차와 주의 사항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먼저, 심폐소생술의 목표는 의식을 잃은 환자에게 혈액 순환과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곧 환자의 뇌와 심장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지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환자가 스스로 호흡하고 심장이 뛰도록 돕는 것이지, 환자를 완전히 치료하는 것이 아닙니다.

CPR 진행 절차는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의식 확인입니다. 환자를 살펴보며 반응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손이나 어깨를 살짝 흔들거나 소리를 지르며 반응을 유도합니다. 반응이 없다면 즉각적으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 전, 환자의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신고자가 어떻게 현장에 도착할 수 있을지 미리 계획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통행로를 확보하거나 차량을 이동시키는 등 환경적인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신고 후에는 즉시, 두 번째 단계인 가슴 압박을 시작합니다.

가슴 압박은 환자의 가슴 중앙 부위에 손바닥을 대고 눌러 심장을 압박하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흉골(가슴뼈) 중앙에 위치시키고, 손목, 팔꿈치가 곧게 뻗도록 팔을 펴서 힘을 실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너무 깊거나 얕게 압박하면 효율이 떨어집니다. 약 5cm 정도의 깊이로,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균일하게 눌러줘야 합니다. 가슴 압박은 30회 연속으로 실시합니다.

다음으로, 인공호흡입니다. 가슴 압박 30회 후, 환자의 코와 입을 막고 입으로 2회 정도의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인공호흡은 환자가 스스로 호흡할 수 있도록 기도를 넓혀주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그러나, 입으로 인공호흡을 시도하기 전에 환자의 입안에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해야 합니다. 이는 환자가 삼켜서 질식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리고 있다면 턱을 들어서 기도를 확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인공호흡은 짧고 강하게 실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 단계는 지속적인 확인입니다. 30회의 가슴 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반복하면서, 환자의 호흡과 맥박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환자가 반응을 보이거나 호흡이 회복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조대가 오기 전까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해야 합니다.

심폐소생술은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만큼, 모든 사람이 쉽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올바른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작정 시도하기 보다는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행동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본인의 능력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심폐소생술은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올바른 절차와 지속적인 확인을 통해 환자에게 최대한의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급 상황에 처했을 때, 주저하지 말고 119에 신고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