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당불내증과 글루텐불내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7 조회 수

유당불내증은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글루텐불내증은 글루텐을 분해하는 효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약 75%가 유당불내증을 앓고 있습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유당불내증과 글루텐불내증의 차이점

유당불내증과 글루텐불내증은 소화관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소화 문제이지만, 원인과 증상이 서로 다릅니다.

유당불내증

유당불내증은 유당이라는 유제품에 있는 설탕을 분해하는 효소인 유당분해효소가 부족하여 발생합니다. 유당분해효소가 부족하면 유당이 소장에서 분해되지 않고 대장으로 이동하여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됩니다. 이 발효 과정에서 가스, 복통, 설사와 같은 불쾌한 증상을 유발하는 수소, 이산화탄소, 메탄과 같은 기체가 생성됩니다.

유당불내증의 증상은 유당 섭취량과 개인의 유당 민감도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 가스
  • 복통
  • 설사
  • 복부 팽만
  • 메스꺼움
  • 구토

글루텐불내증

글루텐불내증은 글루텐이라는 밀, 호밀, 보리와 같은 곡물에 있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하여 발생합니다. 글루텐분해효소가 부족하면 글루텐이 소장을 손상시켜 영양소 흡수를 방해하고 염증과 손상을 유발합니다.

글루텐불내증의 증상은 유당불내증과 유사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체중 감소
  • 피로
  • 영양 결핍 (철분, 비타민 B12 등)
  • 골다공증
  • 피부 질환 (피부염 비염 통증증후군 등)
  • 자가 면역 질환 (갑상선 질환, 류마티즘 관절염 등)

진단 및 치료

유당불내증과 글루텐불내증 모두 병력 조사, 신체 검사,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유당불내증의 경우 유당부하검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글루텐불내증의 경우 혈액 검사와 소장 내시경 검사가 필요합니다.

치료법은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유당불내증의 경우 유당 섭취를 피하는 것이 주요 치료법입니다. 글루텐불내증의 경우 엄격하게 글루텐이 없는 식단을 따르는 것이 유일한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유병률

대한민국에서는 약 75%의 사람이 유당불내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반면 글루텐불내증은 인구의 약 1%에서 발생합니다.

결론

유당불내증과 글루텐불내증은 증상이 유사할 수 있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서로 다른 소화 문제입니다. 유당불내증은 유당 섭취로 인한 유당분해효소 부족이 원인인 반면, 글루텐불내증은 글루텐 섭취로 인한 글루텐분해효소 부족이 원인입니다. 진단과 치료는 원인을 식별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