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H 임상적 의의는 무엇입니까?

11 조회 수

LDH는 다양한 장기 손상을 감지하는 지표입니다. 심장, 간, 폐, 신장 등 장기의 세포 손상 시 혈중 LDH 수치가 상승합니다. 따라서 심근경색, 간염, 폐색전증 등의 질환 진단 및 중증도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단독으로 질환을 진단하는 것은 어렵고, 다른 검사 결과와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LDH, 젖산 탈수소효소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젖산을 피루브산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관여합니다. 이 단순한 설명 뒤에는 LDH의 임상적 의의가 숨겨져 있는데, 바로 다양한 장기의 손상을 감지하는 민감한 지표라는 점입니다. 혈중 LDH 수치의 상승은 세포 손상을 의미하며, 그 원인을 찾아내는 것은 진단의 중요한 시작점이 됩니다. 단순히 수치만으로 질환을 판정할 수는 없지만, 다른 검사 결과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질병의 진단 및 중증도 판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LDH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효소이기 때문에, 세포막이 파괴될 때 혈액으로 유출됩니다. 따라서 심장, 간, 폐, 신장, 뇌, 근육 등 다양한 장기의 세포 손상 시 혈중 LDH 수치가 상승합니다. 예를 들어, 심근경색의 경우 심근 세포의 사멸로 인해 LDH, 특히 LDH-1 (심근에 풍부한 아이소자임)이 혈중으로 대량 유출됩니다. 간염이나 간경변과 같은 간 질환에서도 간세포의 손상으로 LDH 수치가 증가합니다. 폐색전증, 폐렴 등의 폐 질환이나 신부전과 같은 신장 질환, 급성 췌장염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LDH 수치 상승이 관찰됩니다. 뿐만 아니라, 악성 종양, 특히 혈액암 환자에서도 LDH 수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암세포의 빠른 증식과 세포 파괴로 인해 LDH가 다량 방출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LDH는 특이성이 낮은 지표입니다. 즉, 다양한 질환에서 LDH 수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LDH 수치만으로 특정 질환을 단정 지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근육의 과도한 활동 후에도 LDH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며, 용혈성 빈혈의 경우 적혈구 파괴로 인해 LDH 수치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LDH 수치는 다른 검사 결과, 예를 들어 심전도, 심초음파, 간 기능 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되어야 합니다. LDH 수치의 상승 정도, 상승 패턴, 그리고 다른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질환의 진단 및 중증도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LDH의 아이소자임 분석을 통해 어떤 장기의 손상이 주된 원인인지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DH-1의 상승은 심근 손상을 시사하고, LDH-5의 상승은 간이나 골격근 손상을 의심하게 합니다.

결론적으로, LDH는 다양한 질환에서 혈중 수치가 상승하는 민감한 지표이지만, 특이성이 낮기 때문에 단독으로 질환을 진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른 검사 결과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진단 및 중증도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LDH 수치의 임상적 의의를 정확히 이해하고, 다른 검사 결과와 연관 지어 해석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한 중요한 과정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의사의 전문적인 판단과 종합적인 검사 결과가 환자의 건강 관리에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