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결핵 검진은 어떻게 하나요?

4 조회 수

잠복결핵감염 여부는 투베르쿨린 용액을 피부 내에 주사하여 확인합니다. 48~72시간 후 주사 부위의 융기 크기를 측정하며, 융기가 10mm 이상일 경우 양성으로 판단합니다. 이는 잠복결핵 감염 가능성을 시사하며,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확진 여부를 결정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잠복결핵 검진: 숨겨진 위험, 조기 발견의 중요성

결핵, 단어만으로도 왠지 모르게 섬뜩함을 느끼게 하는 질병입니다. 폐결핵과 같은 활동성 결핵은 전염성이 강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지만, 우리는 종종 간과하는 또 다른 위협이 있습니다. 바로 잠복결핵감염(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입니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되었지만, 아직 질병을 일으키지 않고 잠복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증상이 없어 자신이 감염되었는지조차 모르는 채로 지내다가 면역력이 저하될 때 활동성 결핵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잠복결핵 검진은 결핵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잠복결핵 검진은 크게 피부반응검사(Tuberculin Skin Test, TST)와 혈액검사(Interferon-gamma release assays, IGRAs)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피부반응검사, 즉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투베르쿨린 검사’입니다. 피부반응검사는 투베르쿨린 용액이라는 작은 양의 결핵균 단백질 추출물을 피부 안쪽에 주사하는 검사입니다. 주사 후 48~72시간이 지나면 주사 부위의 피부 반응을 관찰합니다.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 융기(경결)의 크기를 측정하여 결과를 판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융기의 크기가 10mm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되며, 잠복결핵감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융기의 크기만으로 확진할 수는 없고,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나이, 건강 상태, 과거 결핵력 등을 고려하여 판정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면역력이 약한 HIV 감염자의 경우 5mm 이상의 융기만으로도 양성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피부반응검사는 비교적 저렴하고 간편하지만, 과거 BCG 백신 접종 여부에 따라 결과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BCG 백신은 결핵 예방 백신으로, 이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의 경우 투베르쿨린 검사에서 위양성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혈액검사인 IGRAs가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IGRA는 혈액 샘플을 이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면역 반응을 측정하는 검사로, BCG 백신 접종 여부에 영향을 받지 않아 결과 해석이 더 정확합니다. 하지만 피부반응검사에 비해 비용이 다소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잠복결핵감염이 양성으로 판정되더라도 곧바로 활동성 결핵으로 발전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잠복결핵은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될 위험을 항상 안고 있기 때문에 예방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의사의 판단에 따라 잠복결핵 치료제를 복용하여 활동성 결핵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습니다. 치료 기간은 보통 몇 개월 정도이며, 치료를 통해 활동성 결핵으로의 발전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잠복결핵 검진은 건강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예방 조치입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 결핵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 결핵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잠복결핵감염을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건강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서도 잠복결핵 검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잠복결핵, 숨겨진 위협에 맞서 건강한 삶을 지켜나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