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TST)는 무엇입니까?

4 조회 수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TST)는 결핵균에 대한 과거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결핵균의 단백질 성분인 PPD를 피부에 주사한 후 48~72시간 뒤, 주사 부위의 반응(경결) 크기를 측정하여 결핵 감염 여부를 판단합니다. 경결 크기는 감염 가능성과 연관되지만, 결핵 활동성 여부를 확정짓지는 않으므로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TST), 흔히 만투(Mantoux) 검사라고도 불리는 이 검사는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대한 과거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진단 도구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결핵 감염 여부만을 판단하는 검사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TST는 결핵균에 대한 면역 반응의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이며, 이 반응의 강도를 통해 과거 감염의 가능성을 추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해서 곧바로 활동성 결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TST는 결핵균의 단백질 추출물인 정제된 단백질 유도체(Purified Protein Derivative, PPD)를 피부 내에 소량 주사하는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주사 후 48~72시간이 경과하면 의료진이 주사 부위의 경결(induration) 크기를 측정합니다. 경결이란 피부가 단단하게 굳어지는 현상으로, 이 크기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양성 반응으로 판정될 수 있습니다. 경결의 크기는 단순히 붉어짐(erythema)이 아니라 단단하게 만져지는 부분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붉어짐은 염증 반응의 일부분일 뿐, 경결만이 실제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TST 결과 해석은 연령, 건강 상태, 과거 결핵 접촉력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어린이나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의 경우, 성인보다 작은 경결 크기에서도 양성으로 판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과거 BCG 백신 접종 경험도 결과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BCG 백신은 결핵 예방 백신이지만, TST 양성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결과 해석 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TST의 양성 반응은 과거 결핵균에 감염되었거나, 현재 잠복 결핵 감염 상태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잠복 결핵 감염은 결핵균에 감염되었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전염성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잠복 결핵 감염 상태는 활동성 결핵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TST 양성 반응이 나타날 경우 추가 검사, 예를 들어 흉부 X-선 촬영, 객담 검사 등을 통해 활동성 결핵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TST는 결핵 감염 여부를 스크리닝하는 데 유용한 검사이지만, 결핵 진단의 최종 판정을 내리는 검사는 아닙니다. TST 결과가 양성인 경우, 활동성 결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 방침을 결정해야 합니다. TST는 결핵과의 싸움에서 첫걸음일 뿐이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결핵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TST 결과에 대한 불안감이나 궁금증이 있다면, 의료진과 충분히 소통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고 올바른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